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밍 기초
- SQL
- dql
- VS Code
- DB 개요
- DB
- DB 모델링
- 도커
- 필기
- java
- oracle
- view
- docker
- mybatis
- 기본 API
- 데이터베이스
- MVC 패턴
- Flutter
- 쿠버네티스
- 정보처리기사
- docker 소개
- 깃허브
- 쿠버네티스 기본 개념
- github
- 웹개발 기초
- ORACLE 기초
- java 기초
- DDL
- 기초 선택자
- 마크다운
- Today
- Total
목록SQL (7)
핑구
📅 2021.09.27 ~ 2021.09.28 PL/SQL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 to SQL의 약자로 오라클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절차적 언어이다. SQL의 단점을 보완하여 SQL 문장 내에서 변수의 정의, 조건 처리, 반복 처리 등을 지원한다. 구조 선언부(DECLARE SECTION): DECLARE로 시작하며, 변수나 상수를 선언하는 부분이다. 실행부(EXECUTABLE SECTION): BEGIN으로 시작하며, 제어문, 반복문, 함수 정의 등 로직을 기술한다. 예외부(EXCEPTION SECTION): EXCEPTION으로 시작하며, 예외 사항 발생 시 해결하기 위한 문장을 기술한다. 화면 출력 BEGIN DBMS_OUTPUT.PUT_LINE('HELLO WORLD..
📅 2021.09.27 SEQUENCE 순차적으로 정수 값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객체로 자동 번호 발생기 역할을 한다. 글을 작성하는 경우 등 해당 열을 구분하는 고유 번호가 있어야 하는데, 이 고유 번호를 생성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 표현식 CREATE SEQUENCE 시퀀스명 ① [START WITH 숫자] : 처음 발생시킬 시작 값, 기본값 1 ② [INCREMENT BY 숫자] : 다음 값에 대한 증가치, 기본값 1 ③ [MAXVALUE 숫자 | NOMAXVALUE] : 발생시킬 최대값, 10의 27승-1까지 가능 ④ [MINVALUE 숫자 | NOMINVALUE] : 발생시킬 최소값, -10의 26승 ⑤ [CYCLE | NOCYCLE] : 시퀀스가 최대값까지 증가 완료 시 CYCLE은 STAR..
📅 2021.09.27 VIEW SELECT 쿼리의 실행 결과(Result Set)를 화면에 저장한 논리적 가상 테이블이다. 실제 테이블과는 자르게 실질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테이블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VIEW 생성문 CREATE [OR REPLACE] VIEW 뷰이름 AS 서브쿼리 VIEW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관리가 계정(SYSTEM 계정)에 접속하여 다음과 같이 권한을 먼저 부여해 주어야 한다. GRANT CREATE VIEW TO 유저이름; VIEW를 생성할 때 서브쿼리의 SELECT 절에 함수가 사용된 경우 반드시 별칭을 지정하여야 생성 가능하다. -- SELECT에서 별칭 지정 CREATE OR REPLACE VIEW V_EMP_JOB AS SELECT EMP_ID 사번, ..
📅 2021.09.17 DDL DDL의 경우 수정, 삭제 등이 일어남과 동시에 자동으로 COMMIT이 진행되기 때문에 명령어를 사용한 COMMIT, ROLLBACK을 진행하여도 확정 또는 되돌리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COMMIT, ROLLBACK은 DML 기능에만 적용된다. ALTER 테이블에 정의된 내용을 수정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정의어로 컬럼의 추가/삭제, 제약 조건의 추가/삭제, 컬럼의 자료형 변경, DEFAULT 값 변경, 테이블 명/컬럼 명/제약조건 명 변경 등이 가능하다. 컬럼 추가 ALTER TABLE DEPT_COPY ADD (CNAME VARCHAR2(20)); ALTER TABLE DEPT_COPY ADD (LNAME VARCHAR2(40) DEFAULT '한국'); 컬럼 추가 시 ..
📅 2021.09.16 ~ 2021.09.17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로 테이블에 값을 삽입(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하는 구문을 말한다. INSERT: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여 테이블의 행 개수를 증가시키는 구문이다. UPDATE: 테이블에 기록된 컬럼 값을 수정하는 구문으로 테이블 전체 행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 DELETE: 테이블의 행을 삭제하는 구문으로 테이블의 행 개수가 줄어든다. INSERT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명1, 컬럼명2, ...) VALUES(값1, 값2, ...) 형태로 사용한다. 정석 INSERT: 해당 테이블에 존재하는 컬럼 명을 작성하는 INSERT문으로 내가 나열한 컬럼 순서대..
📅 2021.09.14 ~ 2021.09.16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로 객체(Object)를 만들고(CREATE), 수정하고(ALTER), 삭제(DROP)하는 구문을 말한다. 오라클 객체 종류: 테이블(TABLE), 뷰(VIEW), 시퀀스(SEQUENCE), 인덱스(INDEX), 패키지(PACKAGE), 프로시저(PROCEDUAL), 함수(FUNCTION), 트리거(TRIGGER), 동의어(SYNONYM), 사용자(USER) CREATE 테이블이나 인덱스, 뷰 등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구문 말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작성한다. CREATE TABLE 테이블명(컬럼명 자료형(크기), 컬럼명 자료형(크기), ...); 오라클 데이터형 CHAR(크기) ..

📅 2021.09.08 ~ 2021.09.09 주요 용어 ① 행, Row, 튜플 ② 컬럼, 도메인 ③ 기본키(Primary Key) : 행을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인자로 하나의 행이 다른 행과 겹치지 않고 유일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테이블 간에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데, 이때 한 테이블의 프라이머리 키를 다른 테이블에 일반 속성으로 넣어 주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④ 외래키(Foreign Key) : 원래 내 것이 아닌 외부에서 받아온 키를 의미한다. ⑤ Null : 안에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⑥ 컬럼값, 속성값, 칸 하나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검색 언어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법이나 절차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