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필기
- 도커
- 쿠버네티스 기본 개념
- DDL
- 마크다운
- DB 개요
- 프로그래밍 기초
- DB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VS Code
- docker
- java 기초
- 쿠버네티스
- SQL
- docker 소개
- oracle
- view
- dql
- DB 모델링
- 기초 선택자
- 웹개발 기초
- ORACLE 기초
- mybatis
- 기본 API
- MVC 패턴
- Flutter
- github
- 깃허브
- Today
- Total
목록java 기초 (13)
핑구

📅 2021.08.18 ~ 2021.08.20 객체(Instance) 현실에 존재하는 독립적이면서 하나로 취급되는 사물이나 개념으로, 컴퓨터, 사람, 핸드폰, 공기, 사랑 등 구체적인 것부터 추상적인 것까지 모든 것을 객체라고 한다. 자바에서의 객체(Object) :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으로 new 연산자를 통해 Heap 메모리 영역에 생성된 것을 말한다. 객체 지향 언어 : 객체의 개념을 컴퓨터로 옮겨 놓은 것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데, 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필요한 언어를 객체 지향 언어라고 한다. 객체 지향의 3대(4대) 특징(★) 캡슐화 : 데이터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은닉하는 것을 말한다. 캡슐화의 원칙 클래스의 멤버 변수에 대한 접근 권한은 private을 원칙으로 한..
📅 2021.08.17 ~ 2021.08.18 배열 같은 자료형의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이다. 배열은 저장된 값마다 인덱스 번호를 부여해(Zero-base) 원하는 수만큼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의 선언 변수와는 다르게 대괄호를 붙여 선언하며, Stack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명" 이름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형[] 배열명; 자료형 배열명[]; 배열의 할당 Stack에 선언한 공간은 하나이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는 2개 이상의 값이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new 연산자를 이용해 Heap 영역에 원하는 수만큼 공간을 할당해주어야 값의 저장이 가능하다.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new 연산자는 ..
📅 2021.08.11 ~ 2021.08.17 제어문 원래 코드의 흐름은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진행되는데, 제어문은 코드를 건너뛴다거나 반복을 하는 등 코드의 흐름을 바꿔 주는 역할을 한다. 조건문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이 수행되도록 만들어 준다. if if문 : if(조건식) { }의 형태이며, 조건식이 true인 경우에 { } 내부의 내용을 실행한다. 조건식이 false인 경우에는 해당 코드를 건너뛴다. 하나의 조건만 실행하기 때문에 여러 조건을 추가하고 싶을 경우 여러 개의 if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조건이 위의 if문과 겹치는 경우에는 두 부분 모두 실행되기 때문에 하나만 실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if문을 중첩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if~else문 : if(조건식) { } else { }의 형..
📅 2021.08.10 ~ 2021.08.11 연산자의 종류 단항 연산자 : 항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논리 부정 연산자 (!) : 논리값을 반대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ex. !true = false) 증감 연산자 (++, —) : 증가/감소 시 사용하는 연산자로, 1을 더하거나 뺄 때 사용한다. 위치에 따라 전위 연산과 후위 연산으로 구분한다. 전위 연산 : 먼저 연산 후 다른 연산을 실행한다. 후위 연산 : 다른 연산을 우선 실행한 후 나중에 실행한다. 이항 연산자 :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연산자이다. 산술 연산자 (+, -, *, /, %) : 산술 연산자 사이의 우선 순위는 수학에서와 동일하다. % 연산자는 나머지 연산자로 모듈러라고도 하며, 나머..

📅 2021.08.05 ~ 2021.08.10 변수 (Variable) 변수 : 데이터(값)를 담아두는 공간 = 상자 변수 사용 이유 변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숫자/문자/논리 등이 어떤 의도로 사용되는지 알 수 없어 가독성이 떨어진다. 변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코드 변경/업데이트 시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재사용성이 떨어진다.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변수를 사용하면 코드량이 감소한다. 변수의 선언 컴퓨터에는 메모리 공간(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은 Stack, Heap, Static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Stack 영역에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을 변수의 선언이라고 한다. 변수의 선언은 자료형 변수명; 형태로 작성한다. 이때 변수명은 자유롭게 지을 수 있다. 자료형 변수에 어..